철도노조 파업 2일째…열차 감축 운행 지속
철도노조 총파업이 이틀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평소보다 열차와 수도권 전철 운행이 줄었고, 화물 수송 열차의 운행률은 20%를 밑돌고 있습니다. 서울역을 비롯해 각 기차역과 지하철역에서는 철도 파업 영향으로 일부 열차가 중단되거나 지연될 수 있다는 안내 방송이 나오고 있습니다. 취소된 열차 대신 다른 열차 편을 찾으려 역사 내 창구를 찾은 승객들도 눈에 띕니다.
1. 파업 이틀째
어제부터 고속열차와 서울 지하철 1, 3, 4호선 등이 감축 운행을 하고 있는데요. 오늘 오전 9시 기준 운행률은 KTX 78%, 수도권 전철은 84% 수준입니다. 화물열차 운행률은 20%에 그쳐 긴급 화물 위주로만 수송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한국철도공사, 코레일은 대체 인력을 투입해 대응하고 있습니다. 국토부와 코레일은 파업 중에도 수도권 전철 운행률을 평소의 75% 수준, KTX 운행률은 평소의 68% 수준이 되도록 할 계획입니다. 파업으로 운행을 중지하기로 했던 경부선 KTX 열차 중 5편의 운행을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2. 퇴근길 상황
출 퇴근시간대에는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레일은 집중 관리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출근 시간에는 수도권 전철의 운행률을 평소 대비 90% 이상, 퇴근 시간대에는 80% 이상으로 유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어제 파업 첫 날인 오후 6시부터 8시 사이에는 수도권 전철 운행률이 88%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러나 오늘은 열차 감축 운행으로 인해 출근길에서도 혼잡한 상황이 예상됩니다. 많은 승객들이 대체 교통수단인 버스나 택시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전체적인 교통 상황을 주의해야 합니다.
3. 철도노조 파업 마무리 시점
철도노조가 예고한 파업 마무리 시점은 다음 주 월요일인 18일 오전 9시인데요. 이를 위해 협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파업이 시작된 이후 한국철도공사와 코레일은 파업의 영향으로 열차 운행이 중단되거나 지연된 경우에 대한 보상책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또한, 노동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파업 요구 내용을 현실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양측 사이에 큰 진전이 없고 있습니다.
철도노조는 파업 마무리를 위해 협상에 진전이 없는 경우 2차 파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는 노사 간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더욱 심각한 파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정부와 코레일측은 파업의 합법성을 논의하고 있으며,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목적으로 파업을 진행하는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쟁 상황에서는 정부와 노조 간의 합의를 이끌어내야 파업이 해결될 수 있을 것입니다.
4. 코레일의 대응 및 운행 계획
코레일은 파업 상황에서도 승객들에게 최소한의 불편을 겪게 하기 위해 대응하고 있습니다. 수도권 전철에 대해서는 출근 시간대에는 평소 대비 90%의 운행률을 유지하고, 퇴근 시간대에는 80% 이상의 운행률을 유지하고자 합니다. 실제로 첫째 날인 어제 퇴근 시간대에는 수도권 전철 운행률이 88%로 유지되었습니다.
또한, 코레일은 대체 교통수단으로 이용되는 버스와 택시 등 다른 교통수단의 운행량을 조정하여 승객들의 이동 수단에 대한 선택 폭을 넓히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전체적인 교통 상황을 완화시키고 승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합니다. 그러나 철도 파업으로 인한 열차 운행의 감축은 피할 수 없기 때문에 퇴근길에는 여전히 혼잡한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5. 퇴근길
퇴근 시간대에는 수도권 전철의 운행이 중요한 이슈입니다. 파업으로 인해 열차 운행이 감축되고 있지만 코레일은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출근 시간대와 마찬가지로 퇴근 시간대에도 최대한 수도권 전철의 운행률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실제로 파업 첫 날인 어제, 오후 6시부터 8시까지의 퇴근 시간대에는 수도권 전철의 운행률이 88%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출근 시간대와 비교해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여전히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그러나 열차 운행의 감축으로 인해 오늘과 이후의 퇴근길에서는 혼잡한 상황이 예상됩니다. 이미 출근 시간대에도 대체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퇴근 시간대에도 승객들이 버스나 택시 등의 대체 교통수단으로 몰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승객들은 가능하면 출근과 퇴근 시간을 조정하여 혼잡도를 피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또한, 퇴근길에 대체 교통수단을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들은 교통 상황을 예상하여 출발시간을 충분히 가늠해야 합니다.
결론
철도노조 총파업으로 인해 열차의 감축 운행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일부 열차는 중단되거나 지연될 수 있으며, 화물 수송 열차의 운행률은 20%를 밑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와 코레일은 대체 인력을 투입하여 운행률을 최소한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파업 상황은 퇴근시간대에도 혼잡할 수 있으므로 승객들은 대체 교통수단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철도노조가 2차 파업을 예고하며 마무리 시점은 다음 주 월요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정부와 코레일은 파업 과정에서 법과 원칙에 어긋나는 행위는 엄정하게 대처할 예정입니다.